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연 1% 부담 경감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는 실업자, 비정규직 근로자, 무급휴직자 등이 새로운 직업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훈련에 참여하는 동안 생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를 활용하면 최대 월 200만 원, 총 1,000만 원까지 경제적 지원을 받을 수 있어 훈련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신청 방법

훈련수강 월의 다음 달 1일부터 10일 사이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해 근로복지넷 홈페이지에서 간편 인증으로 신청하거나, 주소지의 관할 소속기관을 방문해 직접 접수할 수도 있습니다.

상세정보 바로가기


상환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는 13년의 거치 기간 후, 35년 동안 균등분할 상환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 과정에서 조기상환도 가능하며, 조기 상환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아 부담을 줄였습니다.

상세정보 바로가기


실업급여와의 관계

실업급여를 수급 중이라면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실업급여가 종료된 이후에만 신청이 가능하므로, 본인의 실업급여 상태를 먼저 확인한 뒤 신청해야 합니다.

상세정보 바로가기


조건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를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의 80% 이하인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아래 특별훈련 과정 수료자는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까지 지원 가능합니다.

  •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
  • 첨단산업 디지털 핵심실무인재 양성훈련
  • 중장년 내일센터 생애경력설계서비스

상세정보 바로가기


한도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 금리는 연 1%로 매우 저렴합니다. 최대 월 200만 원, 총 1,0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특별재난지역 거주자는 총 2,000만 원까지 한도가 확대됩니다.

상세정보 바로가기


대상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의 대상자는 실업자, 비정규직 근로자, 무급휴직자, 자영업자인 피보험자 등으로 나뉩니다.

  • 실업자: 고용보험 피보험자격을 상실했으며 실업 상태에 있는 사람
  • 비정규직 근로자: 고용보험에 가입된 기간제, 단시간, 파견, 일용 근로자
  • 무급휴직자: 고용보험에 가입된 근로자로서 무급으로 휴직 중인 사람
  • 자영업자로서의 피보험자: 고용보험법에 따른 자영업자(실업급여 수급자는 제외)

상세정보 바로가기


훈련시간 요건

생계비 대부를 받으려면 총 140시간 이상의 훈련에 참여해야 하고, 대부대상월에는 교육일수가 15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단, 건설일용노동자처럼 특정 상황에 있는 경우에는 해당 요건이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세정보 바로가기


직업훈련 생계비 대부는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 귀중한 제도입니다. 본인의 자격 요건에 맞는지 확인 후 꼭 지원해보세요!

대출 정보

※21년 7월 7일기준 법정최고금리가 연 20%로 낮아진 만큼 더 많은 금리를 내고 계신다면 이 점 참조하셔서 금리인하를 요구하시거나 금융감독원 불법사금융신고센터(국번없이 1332)나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 없이 132)로 연락하셔서 도움받으실 수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취급수수료 등 기타 부대비용 및 조기상환조건 없음(단, 근저당 해지비용은 본인부담임) 중개수수료 없음. 추가비용 없음. 조기상환 수수료없음.

상환기간 : 36개월(해당업체상의)

대출금리 : 최고 최저2.0%~ 연20%이내 (연체금리 연20%이내)

중개 수수료를 받거나 요구하는 것은 불법입니다. 대출시 귀하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금리 연20% 이내, 연체이자율 20%이내.

취급수수료없음.

주의사항 출장비, 작업비, 선입금, 수수료등을 요구하는 업체 고액대출을 핑계로 고금리급전사용을 유도하는 업체 최대 연 20%의 법정금리보다 더 높은 금리를 요구하는 업체 핸드폰개통, 통장 또는 카드, 공인인증서, 인감 등을 요구하는 업체 광고용 전화번호가 아닌 다른번호로 전화하여 대출을 권유하는 업체 첫거래라 소액으로 거래 후 변제하면 고액대출을 해주겠다고 약속하는 업체